애드웨어는 악성코드가 아니어야 한다. 제발..
온라인의 발전은 소비자의 구매 패턴에도 변화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특히 우리가 흔히 말하는 소셜커머스가 그 대표적이라고 하겠다.
그렇다면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가 정확하게 어떻게 발생되었는지 잠깐 보고 가보자. 소셜커머스는 '소셜'(social)과 '커머스'(commerce)의 합성어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거나 물품을 판매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온라인이 발달은 소비자의 구매 패턴도 오프라인 구매에 의존하던 것이 온라인 구매로 옮겨 가고 , 소셜커머스 분야의 발전을 불러 일으켰으며, 과열 경쟁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많은 소셜커머스 업체들이 소비자의 소비에 관여하는 것을 넘어 정보검색의 과정에서부터 관여도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과잉 관여는 소비자들의 불편과 불만을 야기한다.
온라인 쇼핑몰과 소셜커머스들은 소비자의 정보검색 과정의 관여를 위해 악성코드를 배포하거나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애드웨어가 설치 되도록 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관여도를 높이고 있어 소비자들의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아래의 웹 페이지 사진처럼 점차로 많은 이용자들이 불편을 토로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법을 찾으려 하지만 많은 방법에도 쉽게 애드웨어를 삭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본 블로거 또한 11번가 싸이트가 10시마다 새탭으로 뜨거나 팝업 광고가 떠서
오랜 시간 애드웨어 삭제를 위해 많은 정보들을 찾아야 했다.
삭제 프로그램은 무단 배포가 불가능 하다고 해서 다운 받을 수 있는
정식 주소만 살짝 알려 드리니 직접 받아서 실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누구나 쉽게 무료로 할 수 있어 편리하긴 하네요.
싸이트 주소 입니다. http://m.cafe.naver.com/malzero/94376
설명서 같은 것들도 다 있지만 전 프로그램 받아서 mzk_auto 실행으로 처리 했습니다.
어차피 저 카페는 저랑 무관한데도 모처럼 좋아서 주소만 적어 놓았어요.
다른분들 보면 실제 진행과정도 보이긴 하던데 저는 다시 애드웨어 깔긴 싫어서
그냥 프로그램 받은 링크만.. 하지만 성능을 보장 합니다.
뭐 프로그램 소개야 곁다리 일 뿐이고
뭏튼 횡설수설 하지만 이에 국회에서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의 애드웨어 설치 제한에 대한 법안과 애드웨어 삭제방법의 간소화에 대한 법안을 발의한다는 이야기가 들리는데 빨리 의결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issue &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미대선 22일의 역주 (力走) 시작~ (0) | 2017.04.17 |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_아재들의 로망 게임 (0) | 2017.04.07 |
그것이 알고싶다. 세모자 사건 - 한국판 로버트 더스트? (0) | 2015.07.27 |
백종원 하차_주방장 아저씨에서 셰프로 & 연좌제 (0) | 2015.07.27 |
청소년 성형수술 제한 의료법이 청소년 성형수술 중독 대안? (2) | 2015.07.22 |